세상보기

교사의 전문성은 어디에 있을까?

사회선생 2014. 10. 23. 13:28

 누구나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다. 부모님부터 옆집 아줌마, 선배 언니나 오빠, 심지어 내가 자주 가는 문방구 주인 아저씨에 이르기까지... 그러나 그들을 교육 전문가라고 할 수는 없다. 그들에게는 전문성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교사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가? 그렇다면 교사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교사의 전문성을 가르치는 학문에 대한 이해도로 한정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많이 안다고 해서 잘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많이 아는 것 역시 전문학자에 비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학교 조직에서의 업무 능력 역시 교사들만이 갖는 전문성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결국 교사의 전문성은 학교라는 곳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춰 보아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교실 현장이 아니라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그 자체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교육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조금 달라질 수 있을 것 같다. 아무튼.)  

 교실은 개성과 취향과 가정 배경과 가치관이 다른 수십명의 학생들이 모여 있는 역동적이고 불안정한 곳이다. 한 공간에 모여있을 뿐, 그들은 철저히(?) 다르다. 이들을 대상으로 자신이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을 그들의 눈높이에 맞추어서 '재구성'하여 '의도한 대로' 그들의 변화를 이끌어낼 때 전문성은 실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회정의에 대한 단원을 학습한다면,  부정의한 일에 분노하게 할 수 있는 힘(기술?능력?), 사회정의를 배우고 그에 맞게 살고자 동기를 불러일으키는 힘, 사회정의에 대해서 더 공부해 보고 싶게 만드는 힘, 자신이 부정의하게 살았음을 반성하게 하는 힘. 그런 힘이야 말로 전문적인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교사는 말 한 마디 하지 않고도, 혹은 오로지 말만으로도 아니면 발문만으로도 그런 수업을 할 수 있다. 그것이 전문성이다. 그런데 문제는 교사의 이와 같은 전문성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이 문제다, 그래서 학교 붕괴 현상이 나타난다. 교사도 전문성을 평가해서 성과급을 주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이 학원 강사만도 못하다. 전문성 없는 교사를 재교육해서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 ' 사회에서는 항상 교사의 전문성을 둘러싼 말들이 많다. 그러나 '전문성'이 뭐지요? 어떤 지표로 어떻게 측정을 할 수 있는데요? 묻고 싶다.

 교사의 전문성은 - 내 생각에는 - 교실 수업 현장에서 발휘되는 능력이지만, 이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평가하는 사람에게도 더 수준 높은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분명한 것은 수업연구가 끝난 후에 제출하는 참관록은 교사의 전문성을 보여줄 수 없다. 가르치는 기술의 일면만을 보여줄 뿐이다. 그 기술의 교육적 성공 여부와 무관한... 단순히 양적 지표만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파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평가를 해야 교사의 전문성을 알 수 있을까? 아무리 봐도 진행형이고, 지속적이며, 교감과 상호 작용 그 자체인 것 같은데 말이다. 나에게도 풀고 싶은 숙제 중 하나이다.

전문성이란 불확실하고, 불안정하며,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학생들을 이끌어 나가며 목표한 바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사회정의를 수업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