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들에게 1년 농사 시작되기 전에 가장 중요한 시점. 무슨 과목 수업을 몇 시간 해야 하는지 결정하는 때이다. 똑같은 월급 받으면서 더 많이 일 하는 건 억울하지 않겠는가? 이는 경제적 동물인 인간의 본능이다. 그래서인지 시수를 정하는 자리에서는 '본능'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다.
수업 시수를 운영하다 보면 2단위나 3단위로 쪼개지기 때문에 1/N로 나누기 곤란할 때가 있다. 누군가 한 두 시간 더 하는 대신 누군가는 덜 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과목 역시 마찬가지다. 선호하는 과목이 비교적 고르게 나뉘어 있으면 그렇게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조금씩 싫은 과목도 걸칠 수밖에 없다. 부득이하게 특정과에서 수업 시수가 조금 넘치거나 모자라는 때가 있다. 이 때 역시 1/N로 맞추기가 쉽지 않다. 그런 상황을 모르는 것이 아니건만, '난 죽어도 20시간은 못해' '나보다 어린 사람도 15시간 하는데, 왜 내가 16시간 해야 돼?' '난 3학년 수업만 할래.' '난 경제는 못하니까 당신들이 알아서 해.'
이렇게 자기 욕심 채우겠다는 카드를 내 밀고, 죽어도 협상 못 하겠다는 사람들이 있으면 그 때부터는 정말 피곤해진다. 20시간 못하겠다고 하는 건 충분히 이해하지만, 그렇다고 다른 과목의 동료교사에게 - 심지어 기간제니까 네가 더 하라는 식으로 - 넘기려는 태도는 이해할 수가 없다. 그건 학교 측에 따져야 할 일이지, 동료 교사를 괴롭힐 일은 아니지 않은가? 과거에 자신들이 타교과에 지원을 해 주어야 할 때에는 '전공자가 아니어서 못 가르쳐요' 이랬다가 막상 자신들이 지원을 받아야 할 처지가 되자 '그냥 상식 선에서 가르치면 되니까 부담갖지 말고 지원 좀 해 줘' 이런다. 나름대로의 원칙이 있건만 내 것밖에 안 보이기 때문에 안하무인이 돼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이 좁은 세계에서조차 이해 관계를 둘러싸고 '인간의 본능'이 드러나는데, 정치판은 오죽할까 하는 생각이 들며, 갑자기 정치인들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늘 정치인의 이기심을 욕하는 그들도 사실은 정치인들과 별반 다르지 않을테니 말이다. 시간표때문에 싸우는 그들도 TV나 신문을 보면서 '사회 정의'를 논하고, '대화와 타협, 양보와 협상'을 강조하며 수준 미달의 정치인들을 욕하지 않겠는가?
'교무수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외대 사고를 보고... (0) | 2014.02.20 |
---|---|
먼저 아는 것과 잘 아는 것은 다르다. (0) | 2014.02.19 |
2월에는 행사만 하는걸로~! (0) | 2014.02.10 |
외고, 국제고, 자사고를 제대로 살리고 싶다면 (0) | 2014.01.08 |
새해라고 달라질 건 없어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