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에서 전화를 받았다. "선생님, 선생님이 쓴 단원의 도입에 대해 이견을 제시하며 수정해 달라고 요구한 교사들이 있는데요,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까요?" 그들이 문제 삼은 단원의 도입 부분이다.
우리 생활이나 삶 속에서 사례를 찾아 이론과 연결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우리가 사는 이 곳과 북한을 보여주면 경제체제와 그에 따른 생산성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어서 흥미 유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구성한 도입이다.
그런데 이의를 제기한 교사들은 주장은 이러했다. '북한이 저렇게 된 것은 계획경제라는 체제때문이 아니라 미국의 정치적 봉쇄때문이다. 또한 북한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하는 교육은 바람직하지 않다.' 소수 의견이라 수용할 수 없다며 수정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문득 그 교사들은 교실 수업을 어떻게 할까 궁금해졌다. 일반적인 사실까지 부정하며 가르치는 것이 정치적인 것이 아닐까? 시장경제의 생산성이 계획경제의 생산성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경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이 아닌가?
경제 교과의 성취 기준에는 시장경제체제에 방점이 실려 있다. 세계화와 자유무역주의까지 모두 아울러서... 중요한 것은 우리의 현실 속에 나타나고 있는 시장 경제 체제가 갖는 한계를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지, 북한의 빈곤과 경제 체제는 큰 상관성이 없다는 식으로 사실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 시장경제체제와 계획경제체제의 생산성 차이를 문제 삼는다면 이는 사실을 떠난 왜곡이다.
곰곰히 생각해 봤다. 이렇게 말할 수도 있을거 같다. '이 사진 보면 북한이 전력 사정이 안 좋으며, 지금 경제적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어.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경제적 생산성은 낮지만 아직도 반딧불이를 볼 수도 있고, 밤하늘의 별도 많이 보일거고, 개발이 많이 되지 않아서 산과 숲의 동물들의 입장에서는 더 살기 좋을 수도 있을거 같기도 해.' (경제 교과서 회의를 할 때에도 자꾸 경제 이야기 안 하고 철학하려고 한다고 해서 욕 먹었는데... 쩝)
'최근에 쓴 책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 개정교육과정 정치와 법 (0) | 2018.12.28 |
---|---|
2015 개정교육과정 경제 (0) | 2018.12.28 |
중학 사회 교과서 (0) | 2017.10.09 |
우리 해리 데뷔시키다 (3) | 2017.08.10 |
본 사탐 사회문화 (0) | 2015.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