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은 명목상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능력주의, 업적주의를 중시하는 사회 체제에서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해는 된다. 어느 직종이나 주어진 업무를 기대 이상으로 훌륭히 수행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성과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로 들어가면 이야기가 좀 복잡해진다. 직종 간에도 다르고, 동일 직종 안에서도 업무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서 비현실적이거나 아예 불가능할 수 있다. 교원평가제가 그렇다. 좋은 평가는 타당성, 신뢰성, 공정성이 실현되어야 한다. 타당성이란 목적한 바를 충실하게 수행했을 때에 실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적 설정이 분명해야 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