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과 불행은 비교에 있다?
인간의 불행은 흔히 비교에서 온다고 한다. '내 친구 아들은, 아래 층에 사는 남편은...' 이러는 순간부터 듣는 사람도 말하는 사람도 행복하기 힘들다. 행복은 주관적인 가치와 기준을 가지고 만들어 가야 하는 순간 그 자체라고 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행복은 어떨까? 아이러니하게도 행복 역시 비교에서 온다는 실험 결과가 흥미롭다.
어느 직장에서 직원들에게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했단다. 첫번째 선택, 월급을 지금보다 10% 올려주겠다. 그런데 다른 직원은 20% 올려주겠다. 두번째 선택, 월급을 10% 삭감하겠다. 그러나 다른 직원은 20% 삭감하겠다. 둘 중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대부분의 응답자가 두번째를 선택했다고 한다. 첫번째 선택이 합리적 선택이건만 행복한 선택은 아닌가보다. 인간의 본성일까? 근원이 궁금해진다.
흔히 진정한 친구는 불행을 함께 해 주는 친구라고들 한다. 하지만 진정한 친구는 친구의 행복을 자기 일처럼 기뻐해 주는 친구인 것 같다. 대부분의 인간은 불행에 빠진 사람을 보면 - 아주 친한 관계가 아니라고 할 지라도 - 측은지심을 가지고 도와주려는 마음이 생긴다. 그러나 행복한 사람을 보면 시기, 질투, 미움이 스물스물 기어올라온다.
학급에서 단짝인 녀석들이 있다. 한 녀석은 원하는 대학에 합격했고, 한 녀석은 떨어졌다. 그 후 두 녀석의 관계는 소원해지고 있다. '나는 떨어졌지만 너라도 붙어서 다행이다. 축하한다.'는 마음이 진심이 되기는 힘든 것일까? 그렇게 말은 했지만, 집에 가서 이불 뒤집어 쓰고 울면서 차라리 같이 떨어졌으면 더 큰 위안이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일까?